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벨언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가족, 친구, 친척, 직장 동료들을 위한 결혼식 축의금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식은 인생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로, 사랑하는 사람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는 자리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어떤 관계이냐에 따라 축의금을 얼마나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는데요.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어떻게 정해야 할지 기준을 정해드릴게요!
그냥 알면 5만원, 친하면 10만 원
결혼식 축의금 적정 액수 설문조사 결과
많은 사람들이 결혼식 축의금으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축의금과 관련된 기준이 딱히 없어서 관계별, 상황별로 액수를 어떻게 정해야 할지 의견이 분분하는데요.
인크루트에서 2023년 대학생, 구직자, 직장인 등 1,177명을 대상으로 결혼식 축의금 적정 액수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축의금은 직접 결혼식에 참여하고 식사까지 하는 것을 전제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출처 : 인크루트
1️⃣ 5만 원
▷ 같은 팀원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보는 직장 동료 (65.1%)
▷ 가끔 연락하는 친구나 동호회 일원 등 알고 지내는 사이 (63.8%)
2️⃣ 10만 원
▷ 개인적으로 자주 소통하는 직장 동료 (63.6%)
▷ 거의 매일 연락하고 만남이 잦은 친구나 지인 (36.1%)
3️⃣ 20만 원
▷ 거의 매일 연락하고 만남이 잦은 친구나 지인 (30.2%)
4️⃣ 30만 원
▷ 거의 매일 연락하고 만남이 잦은 친구나 지인 (14.4%)
결혼식 축의금 적정 액수 기준
가족 외 결혼식 축의금
✅ 웃는 얼굴로 쌍욕 주고받는 절친 ❗20만 원 이상❗
✅ 결혼하는 사람의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안다 ❗15만 원 이상❗
✅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한 친구 ❗10만 원 이상❗
✅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사이 ❗5만 원❗
✅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동료 ❗5만 원❗
✅ 1년에 한 번 정도 볼까 말까 하는 사이 ❗3만 원(미참석)❗
가족 내 결혼식 축의금
가족이나 친척의 경우 일상적인 대인관계에서 보다 더 돈독하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친척이라도 10만 원 정도를 기본으로 준비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 부모, 형제자매 ❗50만 원 이상❗
✅ 조카, 사촌 ❗20만 원 이상❗
✅ 삼촌, 이모 ❗10만 원 이상❗
✅ 먼 친척 ❗5만 원 이상❗
결혼식 당일에는 현금을 봉투에 넣어 가는 것이 일반적이며, 봉투에 이름을 적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결혼식 축의금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축의금의 기준은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의 글은 참고로 축의금 결정하시는 데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경향신문, 서울경제